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 두뇌발달과 창의력을 높여주는 퀴즈모음(재미있는 곱셈시간)

탑오델리아 2025. 3. 11.

오늘의 퀴즈는 개인적으로 너무 재미있게 풀었던 문제입니다. 푸는 방식은 단순연산문제이지만 푸는 과정이 너무나 재미있고 친구들과 함께 대결하는 방식으로 풀면 정말 재미나게 풀 수 있죠~

천재적인 수학능력보다 문제를 잘 관찰을 한다면 누구나 풀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학교수학시간이나 학원에서 이벤트시간에 풀어보면 정말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1. 두뇌발달과 창의력을 높여주는 퀴즈 1

이번문제는 남다는 센스가 있으신 분들은 금방 풀 수 있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어떠한 선과 선이 연결이 되어있는 것이

두 자릿수 수와 일치한다는 것인데요~언뜻 보면 미완성된 도형같기도하고요~ 어떻게 보면 한글 ㄱ,ㄴ 같기도 하구요~

살짝 힌트를 드리자면 이 문제는 우리 생활에 아주 깊숙이 들어와 있는 것을 생각 해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나서 한번 이 문제를 보세요~

tvn 문제적남자 출처

우리 생활에 깊숙히 들어와있는 것! 찾으셨나요? 우리 바로 옆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집에도 있고요~ 일하는 회사에도, 학교 교실에도, 길거리에도 있습니다. 심지어 우리 몸에도 있을 수도 있어요^^

지금 막 두리번대고 계시겠네요^^ 찾으셨다면! 이제 아시겠죠? 

맞습니다! 이 문제는"시계"입니다. 시침과 분침을 가리키는 모양이죠! 그리고 시간을 가리키는 숫자끼리 곱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에 들어가는 시간의 숫자끼리 곱을 하면 "72"가 됩니다. 이렇게 말이죠^^

이 문제 재미있지 않나요? 그동안은 디지털시계로 많은 문제들이 나왔는데 아날로그시계로도 문제를 내니

아주 신박한 문제인 것 같아요^^

그럼 2번째 문제입니다.

2. 두뇌발달과 창의력을 높여주는 퀴즈 2

이번 문제는 디지털숫자입니다. 그런데 이 아날로그 숫자가 나오는 전자계산기가 고장이 나서 세로선이 보이지 않네요~

가끔 이런 문제 풀어봤는데 이번 문제에는 조건이 하나 붙었네요~ 바로 최솟값을 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시간만 충분하면 누구나 풀 수 있으니 천천히 한번 풀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단, 여기에는 보이지 않은 함정이 있으니 그것도 꼭 찾아보세요! 그래야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저는 이 함정을 찾지 못해서 정~말 시간이 오래 걸렸어요~오랜만에 곱셈을 많이 해보실 거예요^^)

tvn 문제적남자 출처

곱셈 다 해보셨어요? 최솟값이 나와야 하니 들어가는 숫자는 2 또는 3에서 계속 왔다 갔다 하시면서 푸시지 않으셨나요?

그럼 천천히 한번 풀어보겠습니다.

일단 세로선이 고장 나 있으니 두자리수 X 두자리수에 나오는 숫자는 0~9 중 1,4,7을 제외하고는 모든 수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즉 0,2,3,5,6,8,9의 숫자를 가지고 곱셈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그런데 두자리수 X 두 자릿수는 아무리 작은 수를 넣더라도 세자리수가 안 나오지 않나요? 자! 제가 처음에 이 문제에 함정이 있다고 했죠? 여기서 우리 고정관념을 깨뜨려야 합니다. 이 계산기는 세로선이 고장 나 있습니다. 네~ 맞아요! 세로선으로 표현을 할 수 있는 숫자 1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의 답은 세자리수가 아니라 네자리수가 되는 거죠! 천의자리 1이 숨어져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문제가 풀리실까요? 그리고 연산값의 십의자리수는 4만 된다는 것도 큰 힌트입니다.

정답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최솟값으로 정답이 나와야 하는 숫자의 조합은 32 X 39가 됩니다. 32 X 39는 1248이 되므로 아래 세로선이 고장 난 디지털숫자에 딱 맞게 되네요^^

tvn 문제적남자 출처

오늘 문제 어떠셨나요?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정말 창의적이고 기발하지 않나요?

푸는방법은 너무나 쉬운 곱셈이었지만,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이 쓰지 않는 뇌를 쓰게 해 주어 아이들 두뇌발달에 좋은 문제입니다. 

학교 수학시간이나 학원에서 이벤트행사로 작은 상품을 걸고 문제를 내보는 것도 아이들과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실 수 있을겁니다. 아이들에게 수학은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풀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게 되죠^^

 

다음에도 재미있는 문제를 또 올리겠습니다.

 

 

댓글